기사상세페이지

정부 지원 확대 속, 여수시는 지역 산업 활성화를 이끌고 있는가?

기사입력 2025.02.06 14:40

SNS 공유하기

fa tw gp
  • ba
  • ka ks url

    -여수국가산단의 어려움 해소 위한 적극 행정 이루어지고 있는가?

    -탄소중립·에너지 전환과 여수시의 대응

    -첨단산업 육성 정책과 여수시의 과제

     

    [크기변환]여수국가산단전경.jpg

    ▲여수국가산단 전경 사진


    정부는 최근 국내 경기부양과 기업 활성화를 위해 탄소중립, 첨단산업 육성 등에 대규모 펀드 및 투자 지원을 발표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탄소중립과 에너지 안정성을 위한 1293억 원 규모의 연구개발을 지원하고, 기획재정부는 34조 원 규모의 '첨단전략산업기금'을 신설했다. 또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양자과학기술 분야에 1980억 원을 투자한다.


    이처럼 정부 차원의 지원이 이어지고 있지만, 여수시가 이러한 정책 기조에 맞춰 충분한 혜택을 받고 있는지는 의문이다. 여수시는 국내 대표적인 화학 및 정유산업 중심지로서 국가 경제에 기여하고 있지만, 글로벌 경기 둔화와 친환경 정책 강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지역 산업 활성화를 위한 보다 정교한 행정 정책이 필요하다.


    정부의 에너지 연구개발 지원은 재생에너지, 원자력, 수소 등 무탄소에너지 기술 개발과 AI 기반 전력 수요 관리 등을 포함한다. 하지만 여수국가산단과의 연계 방안은 구체적이지 않다. 탄소중립 목표를 위해 기업들이 기술 개발과 시설 개선에 나서고 있지만, 투자 부담과 기술적 한계로 어려움을 겪고 있어 정부와 지자체의 실질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정부의 34조 원 규모 첨단산업 지원책은 반도체, 배터리, 바이오 등 미래산업 중심이다. 그러나 여수시가 이러한 정책의 혜택을 충분히 받을 수 있을지는 불확실하다. 기존 화학·정유산업과 함께 바이오·소재·수소 산업으로의 전환을 위한 전략적 로드맵 마련이 필요하며,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협력이 필수적이다.


    정부의 대규모 투자와 지원이 실제 여수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불투명하다. 신산업 유치 및 친환경 전환을 위한 인프라 확충, 재정적 지원, 규제 완화 등의 적극 행정이 요구된다. 기후테크 및 녹색산업 육성, 청정 수소 및 신재생에너지 인프라 구축, 중소기업 금융지원 확대 등의 지원책이 시급하다.


    여수시는 기존 화학·정유업 중심의 구조에서 친환경 산업으로 전환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이를 위해 정부 지원이 지역 산업과 실질적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맞춤형 정책이 필요하며, 지자체의 적극적인 행정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여수시는 정부의 지원책을 지역 특성에 맞게 활용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 전략을 마련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


    ◆ 제보하기

    ▷전화 : 061-681-7472

    ▷이메일 : ysib1333@daum.net

    ▷카카오톡 : '여수일보'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여수일보'를 구독 해주세요!!


    20250206_페이지_1.jpg

    /김영주 기자

    backward top 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