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30 (수)
-광주·전남경찰 "자료 없다" “아는 바 없다”
-불법도박 ‘핵심 통로’ 신협중앙회, 단 한 줄의 답변도 없어
여수일보 취재팀이 최근 광주·전남 지역 신협 및 2금융권 가상계좌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광주·전남경찰청과 신협중앙회에 공식 질의를 보냈지만 돌아온 답은 참으로 실망스러웠다.
광주·전남경찰청은 "관련 자료를 보유·관리하지 않는다"며 정보 부존재를 통보해왔다. 불법도박 자금 세탁 통로로 신협 가상계좌가 악용된 전국적 사건이 연이어 터진 가운데, 지역 경찰은 "아는 바 없다"고 선을 긋는 모양새다.
더 심각한 것은 신협중앙회의 태도다. 여수일보가 질의서를 발송했음에도 불구하고 신협중앙회는 단 한 줄의 답변도 내놓지 않았다. 국민 금융기관을 자처하던 신협이 정작 가장 기본적인 국민 알 권리 앞에서는 고개를 숙이고, 입을 닫아버린 것이다.
지난 4월, 뉴시스 보도를 통해 강원 원주·대구 지역 신협들이 무려 43만 개 이상의 가상계좌를 통해 5조 원이 넘는 불법도박 자금을 세탁한 정황이 드러났다. 심지어 신협과 일부 PG사 간의 공모 의혹까지 제기되면서 제2금융권의 관리 부실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올랐다.
이에 여수일보는 광주·전남 지역 신협들도 동일한 문제가 없는지 점검하기 위해 광주·전남경찰청과 신협중앙회에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정보공개를 요청했다.
하지만 경찰은 "우리는 그런 자료 없다"며 신협중앙회는 아예 아무런 응답조차 하지 않았다.
책임져야 할 기관들이 외면하고 있는 사이 국민들은 금융기관을 믿고 맡긴 돈이 언제 어떤 범죄에 악용될지 모르는 불안 속에 방치되고 있다.
광주·전남 지역 신협 및 2금융권에서 현재까지 불법도박 자금 세탁에 이용된 가상계좌 사례가 발견되지 않은 것은 천만다행이다. 그러나 문제는 이 같은 결과가 기관들의 철저한 관리 덕분인지, 아니면 그저 "자료가 없다"는 무책임한 대응 때문인지는 누구도 알 수 없다는 점이다.
특히 신협중앙회가 질의와 요청에도 ‘침묵’으로 일관하는 태도는 스스로 투명성과 도덕성을 포기한 것 아니냐는 비판을 피할 수 없다. 국민의 신뢰를 기반으로 성장한 신협이, 정작 위기 상황에서는 '금융 권력'에 안주하려는 모습을 보여준 셈이다.
◆ 제보하기
▷전화 : 061-681-7472
▷이메일 : ysib1333@daum.net
▷카카오톡 : '여수일보'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여수일보'를 구독 해주세요!!
/김대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