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05 (수)

김대중 교육감, 공생의 글로컬교육으로 전남교육 희망 제시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역

김대중 교육감, 공생의 글로컬교육으로 전남교육 희망 제시

전남교육청, 도의회 교육행정보고 통해 ‘2025정책 방향’ 설명
시대상 반영한 헌법교육, 2030교실 등 역점 추진 ‘K-에듀’ 선도

-전남교육청, 도의회 교육행정보고 통해 ‘2025정책 방향’ 설명

-시대상 반영한 헌법교육, 2030교실 등 역점 추진 ‘K-에듀’ 선도

 

[크기변환]KakaoTalk_20250205_131259234.jpg

▲김대중 전남교육감 5일 전남도의회 본회의장 ‘2025 교육행정 보고’



전라남도교육청(교육감. 김대중)은 5일 열린 전라남도의회 제387회 임시회 1차 본회의에서 김대중 교육감의 ‘2025 교육행정 보고’를 통해 올해 주요 교육정책 방향을 밝혔다.


전남교육청이 이날 밝힌 ‘2025 주요 정책’은 ▲ 질문과 성찰의 독서인문교육 ▲ 공생의 가치 실천 ▲ 세계와 소통하는 다문화 교육환경 조성 ▲ 2030교실로 전남형 수업 대전환 ▲ 지역사회 공생의 교육생태계 구축 등이다.


첫째, 질문과 성찰의 독서인문교육을 기반으로 삶을 주도하는 미래인재를 육성한다. 이를 위해, 전남의 인문학적 역량을 세계에 알린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에 힘입어 지금까지 실천해온 독서인문교육에 더욱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둘째, 공생의 가치를 실천하며 지속가능한 미래로 나아가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역사·평화·인권·통일, 지역의 가치를 배우고 실천하는 ‘전남 의(義)’ 교육을 강화해 아이들에게 지역의 정체성과 글로컬 경쟁력을 갖춰준다는 계획이다. 


셋째, 학생들이 이중언어 역량을 갖춰 세계와 소통하는 글로컬 인재로 성장하도록 지원한다. 이주배경 학생이 전체 학생의 6,43%(1만 2,000명)를 차지할 정도로 많은 전남의 지역적 특색을 강점으로 삼아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교육환경 모델을 만든다는 계획이다. 


넷째, 2030교실로 전남형 수업 대전환을 이끌며 미래 사회를 선제적으로 준비한다. ‘2030교실’은 불과 5년 뒤인 2030년 전남의 교육환경을 담아내는 수업공간으로, 전남교육청은 각 지역·학교·학급 특색을 반영해 125개를 우선 조성하고 연차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다섯째, ‘전라남도 민관산학 교육협력위원회’ 운영을  통해 협력의 교육생태계를 굳건히 하고, 전국 최다 17개 시·군 교육발전특구 사업을 통해 지역사회가 중심이 되어 전남 학생들의 학급과 성장을 돕는다. 


김대중 교육감은 “국가적·시대적 화두로까지 언급되고 있는 교육의 대전환 필요성은 전남교육청이 추진하고 있는 ‘전남교육 대전환’의 핵심 가치와 맞닿아 있다”면서 “전남교육이 곧 미래교육이며, K-에듀의 선두주자라는 자부심을 갖고 선제적으로 교육정책을 펼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최향란 기자

관련기사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