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9 (금)
- 전남 동부권 실태 질의에도 신협중앙회 묵묵부답
- 금융감독원 ‘비공개’, 전남경찰 ‘부존재’ 회신
- 연체율 급등·임직원 비리 잇따라…신협 신뢰, 어디까지 추락하나
최근 강원 원주와 대구 지역 신협에서 43만 개가 넘는 가상계좌가 불법도박 자금 세탁 통로로 악용된 사실이 드러나 전국적 충격을 안긴 가운데, 여수일보가 광주·전남 지역 신협의 유사 연루 가능성에 대해 신협중앙회에 질의서를 보냈지만, 돌아온 것은 단 한 줄의 답변도 없는 ‘침묵’뿐이었다.
금융감독원은 정보공개 요청에 대해 “수사 및 검사에 관한 사항으로, 공정한 업무 수행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는 이유로 관련 정보를 전면 또는 일부 비공개 처리했다. 전남경찰청 역시 여수일보의 질의에 대해 “관련 자료는 부존재한다”고 회신했다.
하지만 정작 이 사안의 핵심 기관이자 불법도박 자금 유통의 주요 통로로 지목된 신협중앙회는 아무런 답도 내놓지 않았다. 국민 금융기관을 자처하던 신협이 위기 상황에서는 묵묵부답으로 일관하며, 투명성과 도덕성, 책임감 모두를 저버리는 무책임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신협, 불법도박 ‘공범’ 의혹에도 침묵”…무너지는 공공성
여수일보는 지난 4월 17일, 여수·순천·광양 등 전남 동부권 소재 신협의 가상계좌 운영 실태와 불법도박 자금 연루 여부, 중앙회 차원의 감사 및 대응 내역 등에 대한 공식 질의서를 신협중앙회에 전달했다.
그러나 회신 마감일인 4월 25일이 지나도록 중앙회는 아무런 응답도 하지 않았으며, 이후 재요청에도 일절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이는 단순한 무응답이 아니라, 국민의 알 권리를 침해하고 언론의 정당한 감시 기능을 무시하는 공공기관으로서의 책무 방기이다.
신협이 지금껏 ‘서민의 금융기관’이라는 슬로건 아래 성장해왔지만, 실제로는 금융 권력의 울타리 안에서 위기 대응조차 피하는 무책임한 권위주의에 안주하고 있다는 방증이다.
한편, 최근 신협 내부 상황도 심상치 않다. 중앙일보는 지난 4월 28일, “신협 연체율 3% 넘어 ‘경고등’”이라는 보도를 통해 전체 1,280개 조합 중 114개 조합이 ‘부실 위험군’에 속해 있다고 지적했다.
일부 조합은 연체율이 10%에 육박했고, 5조 원대 불법도박 자금 세탁에 연루된 것으로 지목된 조합 중 하나는 2021년에도 금융사고로 수억 원을 날린 전력이 있는 곳이었다.
여기에다 내부 임직원의 횡령·배임·허위대출 등의 비리도 끊이지 않고 있다. 지난 3월에는 수도권 한 신협 지점장이 허위서류를 활용한 대출로 수억 원을 빼돌린 사건이 드러났고, 일부 조합에서는 특정 기업과 유착해 거액 대출을 실행한 뒤 부실 처리되는 사례도 보고되었다.
신협중앙회는 전국 신협을 총괄하고, 감사·관리·감독 권한을 가진 기구로서 해당 의혹에 대해 가장 먼저 투명하게 입장을 밝혀야 할 위치에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보여준 행보는 ‘모른 척’과 ‘외면’뿐이며, 스스로 국민 금융기관의 자격을 부정하고 있는 상황이다.
여수일보는 광주·전남 지역 신협이 불법 가상계좌 유통과 전혀 무관하길 진심으로 바란다.그러나 그 바람이 무책임한 침묵과 정보은폐로 유지되는 것이라면, 신협은 그 공공성과 신뢰를 스스로 무너뜨리고 있는 셈이다.
여수일보는 향후 정보공개 청구 결과와 추가 제보, 관련 기관의 대응 등을 지속적으로 추적 보도할 계획이다. 국민의 금융 안전과 제도 투명성을 위한 감시와 보도를 멈추지 않겠다.
◆ 제보하기
▷전화 : 061-681-7472
▷이메일 : ysib1333@daum.net
▷카카오톡 : '여수일보'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여수일보'를 구독 해주세요!!
/김대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