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유가 상승에 정유·화학업체 ‘비상’…생산성·수익성 이중고
-운송비·소비위축까지…지자체 행정지원 시급
중동 정세 불안과 국제유가 급등이 겹치며 여수지역 경제 전반에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미국과 이란 간 무력 충돌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유가가 배럴당 75달러를 넘어섰고, 정부는 물가 안정을 위해 유류세 인하 연장과 관세 조정 등 긴급 대응에 나섰다.
이 같은 국제 정세는 여수국가산업단지(이하 여수산단)를 중심으로 지역 산업과 소비 전반에 파급력을 미치고 있다. 여수산단의 정유 및 석유화학 기업들은 유가 상승에 따라 원재료 비용이 급증하고 있다.
특히 나프타와 같은 석유계 원료를 수입에 의존하는 구조상, 정제마진이 줄어들며 수익성이 크게 위축되고 있다는 것이 업계의 우려다.
문제는 이것이 단순한 원가 문제를 넘어서 공장 가동률 저하, 중소 협력업체 경영난, 고용 불안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산단 내 일부 기업은 이미 80% 미만의 가동률을 기록하고 있으며, 유가 상승이 장기화될 경우 구조조정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여수항을 중심으로 한 해상 물류에도 경고등이 켜졌다. 유류비 상승은 곧장 운송단가 인상으로 연결돼 수출입 비용 증가로 이어지며, 특히 중소 제조업체의 경쟁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 도서 연안 운송 등 지역기반 물류망에도 연쇄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선제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여수시는 관광과 외식업 비중이 높은 도시이기도 하다. 고유가와 물가 상승은 관광객의 지출 여력을 줄이고, 지역 소상공인의 가격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요소로 작용한다. 자칫하면 내수 위축으로 지역경제 전반이 얼어붙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여수산단과 지역경제 전반의 피해를 줄이기 위한 지자체 차원의 신속하고 구체적인 대응이 절실하다. 원유가 급등과 같은 대외 변수는 시 차원에서 통제할 수 없지만, 피해 최소화를 위한 지원은 가능하다.
전문가들은 “지자체가 중소기업 대상 긴급 유류비 보조, 물류비 지원, 관광소비 촉진 캠페인 등 현실적인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아울러 정부의 유류세 조정 및 관세 완화 정책에 보조를 맞추고, 여수산단이 에너지 고효율·수소전환 등 중장기 산업 구조개편을 추진할 수 있도록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여수는 지금, 외부 충격에 흔들리지 않는 산업과 행정의 균형이 필요하다. 유가 불안이 곧 지역 불안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보다 기민한 대응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 제보하기
▷전화 : 061-681-7472
▷이메일 : ysib1333@daum.net
▷카카오톡 : '여수일보'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여수일보'를 구독 해주세요!!
/김대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