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07 (화)

[수필]땅거미 질 무렵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오피니언

[수필]땅거미 질 무렵


임병식.png

▲임병식 수필가

 

 해가 함지에 빠지고 잔광이 아직 그 기세를 이어가고 있을 때부터 반대로 저녁은 시작된다. 물리적인 야간은 이미 테입을 끊은 뒤지만 땅거미는 썰물이 서성이며 갯벌에 머물던 미련을 어쩌지 못하는 것과는 달리 주도면밀 하게 짙어오기 시작한다. 


 그 모습을 어떻게 표현할까. 다리 긴 사람이 마치 성큼성큼 다가오는 모습 같다고나 할까. 이때는 여명이 밝아오는 때와는 달리, 또 다른 긴장감에 휩싸이는 시각. 각일각 다가선 어둠이 검은 휘장을 두르고 침묵 속에 빠뜨리는 시간이다.

 그 유사한 전경을 김승옥은 '무진기행'에서 '점령군이 밀려온 것 같았다'고 표현했지만 옥죄이며 포위하여 오는 모습은 그와 다르지 않다.


 이 시간대는 또 한편으로 잠드는 것과 깨어나는 것의 교차점이기도 하다. 가을 녘에 맞이하는 이 시각은 벌써 풀잎에 이슬이 맺히기 시작하고 박꽃 달개비 꽃은 요염한 자태를 드러내기 시작한다. 그리고 들녘에 나가 허리 펼 새 없던 농부는 귀가를 서두르고 밭갈이에 지친 일소는 하루의 일과를 마감했다는 뜻인지 코뚜레 줄에 매달은 풍경을 타종이라도 하듯 뎅그렁거리며 돌아온다.

 이 순간은 모든 것을 점검하고 갈무리하는 시간. 아직은 희끄무레 남은 잔광 속에서 챙길 수 있는 일은 다 챙겨야 하는 순간이다. 


 나는 내 유년의 아련한 추억 속을 돌아볼 때 이 때 쯤이 가장 많이 생각난다. 6.25전쟁이 종전으로 치달아 발생한 부상병들이 하나 둘씩 귀가를 서두를 때, 흙먼지 뒤집어쓰고 기마전이며 병정놀이에 빠져 지쳐가던 때가 이때였기 때문이다. 

 집집마다 전봇대 같이 치솟은 굴뚝에서 피어 오르던 연기가 잦아들고 '아무개야 밥 먹어라' 부르는 소리가 왁자하던 때도, 그 시절이 아련한 때도 이때이다.


 하여, 나는 여명을 지켜보는 것은 지금도 계속되는 일이지만, 땅거미 지는 것을 생각하는 일은 늘 한정된 유년의 뜰에 머물러 있다.'전우의 시체를 넘고 넘어 앞으로 앞으로...' 그 노래가사가 어찌하여 불려주고 그 뜻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도 모르면서 검둥개처럼 뒹굴던 시절이 잊히지 않는 것이다. 


임병식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