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2 (토)

교육발전특구 정식 지정 노린다, ‘제1회 전남교육발전특구 포럼’ 개최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역

교육발전특구 정식 지정 노린다, ‘제1회 전남교육발전특구 포럼’ 개최

전남도교육청, 지역인재 양성과 ‘전남교육발전특구’ 발전 방안 논의
전남도 7개 시·군, 1유형은 매년·3유형은 3년 후 종합평가 통한 정식 지정 결정

-전남도교육청, 지역인재 양성과 ‘전남교육발전특구’ 발전 방안 논의

-전남도 7개 시·군, 1유형은 매년·3유형은 3년 후 종합평가 통한 정식 지정 결정

 

[크기변환]제1회 전남교육발전특구 포럼 (1).jpg

▲29일 개최된 제1회 전남교육발전특구 포럼 


전라남도교육청(교육감 김대중)가 지난 2월 선정된 교육발전특구 7개 시범지역의 성공적 안착을 위한 제1회 전남교육발전특구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29일 ‘2024 대한민국 글로컬 미래교육박람회’가 진행 중인 여수세계박람회장에서 진행됐다.


교육부는 ‘교육발전특구’ 정책을 통해 지자체, 교육청, 대학, 지역 기업, 지역 공공기관 등의 협력을 도모하여 지역 발전의 큰 틀에서 지역교육 혁신과 지역인재 양성 및 정주를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체제를 마련하고 지난 2월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을 발표했다.


전라남도는 도교육감과 도지사의 협약을 통한 3유형 목포·무안, 나주, 영암·강진·신안 6개 지역과 도교육감과 기초 지자체장 협으로 진행되는 1유형 광양 1개 지역, 총 7개 시·군 선정되고 해남은 예비 지역으로 지정되었다.


1유형은 매년, 3유형은 3년의 시범운영 이후 종합평가를 거쳐 교육발전특구로 정식 지정되는 만큼 정책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 이번 포럼이 개최됐다.


‘지역인재 양성과 전남교육발전특구’를 주제로 열린 이날 포럼 1부에는 △이상림(서울대 인구정책연구센터) 책임연구원의 ‘지방인구 위기와 지역 교육의 대응 방향’ 기조 강연 △김대성(전남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의 ‘지역인재 육성으로 지속 가능한 나주 실현’ 사례 발표 △송석현 교감의 ‘교육발전특구에서 자공고 2.0의 역할’ △황근석 장학사의 ‘영암 교육생태계 구현 방안’의 주제 발표로 진행됐다.


특히 2부는 고윤혁(전남교육정책연구소) 소장의 사회로 전남교육발전특구 운영 및 성공 방안을 위한 패널토론 및 현장 질의응답 형식으로 진행돼 다양한 참여자들이 서로 의견을 공유하는 의미 있는 시간이 됐다.


김여선 정책국장은 “교육발전특구는 지역의 인재들이 태어나 배우고 정주하는 선순환 생태계를 구축해 인구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종합 지원 정책이다.”며 “전남이 주도하여 공교육 혁신 모델을 만들고 이를 통해 교육발전특구의 성공적 운영을 이루어내겠다.”고 말했다.


한편, 인구 감소로 인한 지방 소멸 위기에 ‘교육’이 중요한 화두로 대두되고 있는 상황에서, 여수시 역시 5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진행되는 교육발전특구 2차 공모에 도전하기 위한 행보를 보이고 있어 이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20240530_2.jpg

최향란 기자

관련기사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