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8 (화)

영산강유역환경청, 첨단감시장비 활용 대기오염물질 집중감시체계 본격 운영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역

영산강유역환경청, 첨단감시장비 활용 대기오염물질 집중감시체계 본격 운영

-이동측정차량·드론을 활용하여 산업단지 대기오염지도 구축 중
-대기오염지도를 토대로 고농도 사업장 집중감시체계 본격 가동

-이동측정차량·드론을 활용하여 산업단지 대기오염지도 구축 중

-대기오염지도를 토대로 고농도 사업장 집중감시체계 본격 가동



[크기변환]현장사진.jpeg

> 19일 광주 하남산단에서 류연기 영산강유역환경청장이 첨단감시장비(이동식측정차량, 드론) 활용 집중감시체계 운영 현장을 시찰하고 있다.

 

 

영산강유역환경청(청장 류연기)은 고농도 오존 발생기간인 5∼8월을 특별관리기간으로 정하고, 첨단감시장비를 활용하여 남부권(광주, 전남 6개 시·군)의 산업단지내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오염지도를 토대로 고농도 사업장 대상 집중감시체계를 가동한다고 밝혔다.


영산강유역환경청은 지난 상반기중(‘21.1∼’21.6) 14개 산업단지(여수, 광양, 하남, 평동 등)를 대상으로 이동측정차량·드론 등을 활용, 휘발성유기화합물을 반복적으로 측정한 후,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분포와 고농도 지역(hot-spot) 확인 가능한 「산업단지 휘발성 유기화합물 대기오염지도」를 제작하였다. 


산업단지 대기오염도 지도 제작 결과, 하남, 여수산단 등 7개 산업단지는 상대적으로 농도가 높아 집중적인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7개 산업단지는 낮은 수준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영산강유역환경청은 8월부터 산업단지 대기오염도 지도에서 확인된 고농도 지역을 대상으로 집중감시체계를 본격 가동할 계획이다

 

 

현장사진2.jpeg

 

 

우선 효과적이고 집중적인 감시를 위해 휘발성유기화합물 오염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곳으로 나타난 산업단지(하남산단, 여수산단)를  대상으로 이동측정차량·드론을 활용하여 운영할 계획이며, 환경청 내에 무인기 ‘민·관 협력운용팀’을 편성하여, 민간 조종사가 환경감시용 무인기 비행조종을 전담하고, 환경청 담당자가 측정자료 분석과 이동식 측정차량 운영, 오염물질 배출 의심사업장 단속을 총괄하도록 역할을 분담하여 사업장 감시 및 점검을 수행한다.


아울러, 불법배출 의심 사업장을 선별, 점검인력을 집중 투입하는 집중감시체계도 운영할 예정이다. 


산업단지 대기오염도 지도에서 고농도로 파악된 지역을 대상으로, SEMS(대기배출원관리시스템), PRTR(화학물질배출이동량정보) 등 환경부가 보유한 자료를 토대로 고농도 배출 의심 지역 및 사업장을 사전에 선별하고, 선별된 불법 배출 의심사업장은 특별점검 인력을 투입하여 방지시설 정상가동 여부 등 불법행위를 확인하고 지속적으로 개선을 유도할 계획이다.


류연기 영산강유역환경청장은 “산업단지 대기오염도 지도와 집중감시체계 운영을 통해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남부권 지역의 대기오염 배출시설 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사업장들도 대기환경 개선을 위해 적극적인 배출시설 관리에 힘써 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20210819_01.jpg


 

하효정 기자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