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9 (토)

주철현 의원, "YGPA, 항만운항관리 소홀이 높은 체선율 원인 중 하나"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역

주철현 의원, "YGPA, 항만운항관리 소홀이 높은 체선율 원인 중 하나"

-여수산단 부두 물동량, 하역능력 20% 초과…운항관리 고작 2명
-"여수산단 기업과 네트워크 구축해 서비스 개선책 마련해야"

-여수산단 부두 물동량, 하역능력 20% 초과…운항관리 고작 2명

-"여수산단 기업과 네트워크 구축해 서비스 개선책 마련해야"



주철현.jpg

> 국회 농해수위 주철현 국회의원(민주당, 전남 여수시갑)



여수광양항만공사의 소홀한 항만 운영관리가 국내 주요 항만의 수십 배에 이르는 심각한 체선율을 발생케 하는 원인으로 지적됐다.


국회 농해수위 주철현 국회의원(민주당, 전남 여수시갑)에 따르면, 여수석유화학산단 내 부두 물동량을 관리하는 여수광양항만공사의 여수사무소 총 인원은 11명이다. 이 중 항만관리 업무 담당자는 2명에 불과했다. 


광양항 물동량을 관리하는 여수항만공사 직원은 170명, 공사와 함께 부두 운항 관리를 맡는 통합 하역운영사와 선사 터미널 인원까지 더하면 큰 폭으로 차이가 난다.여수석유화학산단 내 국유부두의 전체 하역능력은 2019년 기준 3,100만톤, 물동량은 3,700만톤으로 19.4%를 초과하고 있다. 


지난 2016년부터 2021년까지 5년간 여수석유화학국가산단 내 4개 부두(중흥, 낙포, 사포, 석유화학)의 평균 체선율은 26.68%다. 여수석유화학산단 내 부두 체선율은 부산 등 국내 주요항만 대비 25배 이상 높다. 


여수산단 기업체와 항만 업계에서는 부두의 하역능력 부족도 체선의 원인이지만, 항만공사의 운항 관리 및 선석배정 등 미흡한 항만 운영관리도 체선율 고공행진의 원인 중 하나로 지목하고 있다. 


주철현 의원은 “여수석유화학산단 내 부두에 대한 화물선의 ‘선석배정, 하역관리 등 항만운영 관리 서비스’는 여수광양항만공사의 책무이자 공적 영역이다”며 “공사의 운항 관리 책임과 역할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어 주 의원은 “체선에 따른 피해는 고스란히 물동량의 감소, 제품 가격 상승, 그리고 관련 항만업의 경쟁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면서 “정부와 항만공사가 여수국가산단 기업들과 네트워크를 구축해 항만서비스 개선을 위한 대책 수립과 투자를 아끼지 않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앞서 지난 7일 주철현 의원은 해양수산부 국정감사에서 여수산단 내 부두의 체선율이 국내 주요 국가항만 대비 20~40배가 높은 것은 ‘정부의 항만투자 불균형에 따른 결과다’고 지적하고, 적극적인 투자 확대를 촉구한 바 있다.


20211013_02.jpg


박도하 기자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